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Google Currents를 통해 나만의 디지털 매거진 만들기



최근 유행하는 앱중 하나가 잡지 스타일의 뉴스 리더 앱입니다. iOS의 플립보드가 대표적인데 구글에서 'Google Currents(구글 커런츠)'라는 비슷한 앱을 출시하였습니다.

홈페이지 : http://www.google.com/producer/currents

마켓 : https://market.android.com/details?id=com.google.android.apps.currents

아래는 소개 동영상입니다.




소개 영상이나 스크린 샷을 보면 구글  커런츠는 RSS 피드를 잡지 스타일로 보여주는 feeldy(피들리)와 흡사한 스타일입니다. 그러나, 커런츠를 조금 사용해보면 외양은 비슷하나  서비스가 지향하는 바가 다르다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구글 커런츠를 간단히 얘기하면 '피들리 + iOS의 뉴스가판대' 입니다. 기사를 보여주는 스타일은 피들리와 흡사하나 서비스는 피들리와는 달리 커런츠에서 서비스되는 잡지와 뉴스를 구독하는 것을 우선으로 설계된 느낌입니다. 물론 일반 RSS 리더 앱처럼 피드를 등록해 사용할 수도 있지만요.

따라서, 현재는 등록된 매체들이 모두 무료이지만 추후 유로 구독 기능도 지원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구글 커런츠 서비스의 지향점은 'Google Currents Producer'라는 출판 시스템에서도 알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를 통해서 제휴를 맺고 정식 등록된 업체가 아닌 개인이나 중소업체들도 커런츠를 통해 컨텐츠 서비스를 할 수 있습니다. 커런츠 서비스가 자리를 잡는다면 온라인 상에서 지명도가 있는 블러거들에게는 꽤 좋은 홍보 채널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등록 절차도 간단합니다. 이미 블로그 등에 Atom이나 RSS 피드가 있다면 바로 자신만의 잡지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아래 스크린샷을 통해 절차를 설명드리겠습니다.




producer 페이지 처음 접속하면 약관에 동의를 요구하는 페이지가 나오고 동의 절차가 끝나면 바로 새로운 에디션을 등록할 수 있는 창이 표시가 됩니다. 출판할 잡지 이름을 입력하고 Create 버튼을 누릅니다.




producer의 기본 화면입니다. 미리보기 화면 옆에 잡지의 이름과 설명, 아이콘 등을 지정할 수 있는 화면이 있습니다.




기본 정보를 셋팅했으면 잡지의 섹션을 등록합니다. 블로그, 트위터, 구글 플러스, 이미지 갤러리 등을 각 개별 섹션에 등록해 하나의 잡지 안에서 서비스할 수 있습니다.




섹션 타입 중 피드를 선택한 등록 화면입니다. 섹션 이름과 피드 주소를 입력합니다.




섹션을 입력하면 피드에 연결하는 절차가 나오고 연결이 성공하면 위 스크린샷과 같이 미리보기 화면에 해당 피드로부터 가져온 기사들이 보입니다. 가져오는데 약간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있으니 바로 보이지 않으면 잠시 후에 화면을 새로고침 해보시면 됩니다.




정상적으로 섹션이 생성되었다면 다음은 배포 설정입니다. 배포하기전에 한단계 절차가 더 있는데 위 스크린샷처럼 해당 컨텐츠의 소유권을 인증 받아야 합니다. 위 테스트 화면은 제 구글 블로그이기 때문에 인증 링크를 클릭하면 바로 인증이 되나 일반 사이트일 경우는 인증코드를 웹사이트 추가해야 하는 절차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인증까지 무사히 마치셨으면 발행입니다. 발행일을 선택하고 Publish 버튼을 클릭하시면 끝. 발행이 끝나면 구글 커런츠 앱의 검색을 통해 발행된 잡지를 확인하살 수 있습니다.

제가 처음 발행한 것은 바로 검색이 되었는데 회사 사이트를 테스트해보았을 때는 검색이 바로 되지가 않았습니다. 일시적인 문제인지는 확인을 못했는데 계속 검색이 되지 않으시면 발행 후 발행 메뉴를 보시면 해당 잡지를 등록할 수 있는 웹페이지 링크가 있습니다. 커런츠가 설치된 기기의 웹브라우저로 해당 링크에 접속하시면 커런츠에 등록할 수 있습니다.





구글 커런츠는 이제 막 첫번째 버전이 릴리즈된 것이라 아직 출판 시스템이나 앱에 버그가 있는 편입니다. 서비스도 미국에서만 오픈된 상태라 국내 서비스가 언제일지는 모르겠습니다. 며칠 테스트로 사용해본 느낌은 마치 Google Plus와 같이 기존 서비스들과 크게 다르지는 않지만 이용자들이 가려워하던 부분을 긁어줌으로 가지는 경쟁력이 있다라는 것입니다.

웹 사이트에 이미 상당한 컨텐츠를 가지고 있는 회사인데 아직 디지털 매거진쪽으로 본격적인 투자를 진행하지 않고 있는 회사 입장에서는 RSS 피드를 조금 다듬는 수준에서 구글 커런츠를 통해 간단한 디지털 매거진 서비스를 할 수 있다가 커런츠의 가장 큰 경쟁력이라는 생각입니다.

커런츠가 처음 소개되었을 때 플립보드와 비교한 글이 많아지만 커런츠는 플립보드보다는 iOS의 뉴스가판대를 타겟으로 한 것으로 보입니다. 정식 제휴 절차없이도 컨텐츠 서비스가 가능한 오픈된 성격의 가판대에 구글 리더와의 연동과 웹상에 있는 RSS 피드를 검색해 구독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함으로서 활용도를 높인 서비스가 구글 커런츠입니다.

이제 런칭된 서비스라 아직 서비스 성공에 대한 것은 좀더 지켜봐야 하겠지만 블로거들도 간단하게 자신만의 디지털 매거진을 만들 수 있다라는 점에 높은 점수를 주고 싶습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구글 결제에서 결제 수단 등록 문제

얼마 전 카드를 새로 만들어서 구글 결제의 결제 수단을 교체하려고 하였는데 카드 번호가 잘못되었다라고 하면서 등록이 되지 않았습니다. 관련해서 검색을 해보니 이런 문제가 흔히 발생하고 있더군요. 저처럼 당황하실 분들을 위해 구글 고객센터와 통화해 해결하면서 알아낸 것들을 공유하겠습니다.

IFTTT의 새로운 앱 'Do'

IFTTT 는 간단하게 정의하면 온라인 자동화 서비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블로그에 포스팅을 하고 이 글을 SNS에 공유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각 SNS마다 직접 공유 포스팅을 하거나 Buffer와 같은 서비스를 사용해 공유 포스팅을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IFTTT는 이런 과정없이 블로그에 새로운 글이 등록되면 이것을 IFTTT에서 감지해 자동으로 SNS에 공유 포스팅이 등록되게 해줄 수 있습니다. 블로그를 예로 들었지만 IFTTT는 온라인 서비스들을 사용할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들을 감지해 자동화해줄 수 있는 편리한 서비스입이다. 이런 IFTTT에서 기존 앱의 이름을 IF로 바꾸고 별도의 새로운 앱인 'Do' 시리즈 를 출시하였습니다.

안드로이드 N의 '프리폼 윈도우 모드(freeform window mode)'

안드로이드 N의 개발자 프리뷰에서 가장 큰 변화는 멀티 윈도우 지원이었습니다. 그런데, 프리뷰가 발표된 이후 숨겨진 옵션으로 단순 멀티 윈도우가 아닌 일반 PC OS들처럼 윈도우의 크기와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프리폼 윈도우 모드(freeform window mode)'가 존재한다라는 사실이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이 윈도우 모드는 개발자 프리뷰에서는 활성화되어 있지 않았지만 구글의 공식 문서에도 언급이 되어 있는 옵션이었습니다. 어떤 모습인지 궁금하였던 '프리폼 윈도우 모드'의 작동하는 모습이 담긴 영상이 인터넷에 올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