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Lightbox : 안드로이드의 인스타그램



안드로이드 유저들이 아이폰을 부러워하는 서비스 중 하나가 '인스타그램'입니다. 사진공유 SNS인데 페이스북, 트위터 이후에 성공한 SNS 중 하나죠. 인스타그램이 안드로이드용을 개발 중이라는 소식이 있지만 아직 테스트 버전이라도 나온 것이 없으니 안드로이드 유저들은 그 대안을 찾을 수 밖에는 없는데 '라이트박스'가 그중 하나입니다.

제가 라이트박스 이전에 사용한 비슷한 서비스로는 '픽플즈'가 있습니다. 이 서비스는 오히려 인스타그램보다 먼저 서비스를 시작했으나 시장에서의 성공은 인스타그램이 했죠. 두 서비스간의 차이는 집중력과 UI 디자인의 차이라는 생각인데 어쨌든 저도 조금 사용하다 접었습니다.




라이트박스의 강점은 UI 디자인이라는 생각입니다. 서비스 컨셉은 2.0 버전으로 올라가면서 바뀌었지만 디자인의 감성적인 면은 픽플즈보다 한수 위입니다. 컨셉을 '사진으로 만드는 기록'으로 바꾸면서 보여준 타일스타일의 사진 배치는 구플 등에서 이미 본 컨셉이지만 적어도 인스타그램과의 차별화에는 픽플즈보다는 성공한 것 같습니다.




문제는 아직까지는 라이트박스의 시스템과 앱의 완성도가 떨어진다라는 것입니다. 웹페이지와 앱을 사용하면서 크지는 않지만 작은 오류들을 발견할 수 있는데 제가 경험한 것 중 하나는 웹페이지에서 사진을 삭제해도 내가 올린 사진 수를 표시하는 카운트는 줄어들지 않는다라는 것입니다. 앱에서 삭제하면 정상적으로 숫자가 줄어들더군요. ^^;

이런 시스템적 오류말고도 저작권 표시에도 문제가 있습니다. 라이트박스는 픽플즈처럼 PC에서도 웹페이지를 통해 사진을 올릴 수 있는데 올려진 사진의 저작권을 표시하거나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막는 어떤 기능도 없습니다. 인스타그램처럼 모바일을 메인으로 설정한 것이 아니라면 이런 기능이 필요하다라는 생각입니다.




이런저런 부족한 부분이 있지만 안드로이드에서 사진에 효과를 주고 공유하는 기능을 원한다라면 라이트박스가 가장 좋은 선택입니다. 현재까지는요... 인스타그램의 안드로이드 버전이 나오기전에 시스템과 앱을 얼마나 안정화시켜 유저 수를 확보하느냐가 생존(!)의 갈림길이겠죠. 살짝 불안해 보이기는 합니다.

제 라이트박스 주소는 http://gameison.lightbox.com/ 입니다. 라이트박스를 사용하면서 프로필을 통해 한국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분은 한분 봤다라는... ㅡ.ㅡ;


[ 마켓 링크 ]



===

역시 살짝(?) 불안해 보였던 것처럼 라이트박스 서비스가 중단됩니다. 페북에 인수가 되었는데 인스타그램과는 달리 서비스는 중단한다고 합니다.


 2012년 5월 29일 업데이트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구글 결제에서 결제 수단 등록 문제

얼마 전 카드를 새로 만들어서 구글 결제의 결제 수단을 교체하려고 하였는데 카드 번호가 잘못되었다라고 하면서 등록이 되지 않았습니다. 관련해서 검색을 해보니 이런 문제가 흔히 발생하고 있더군요. 저처럼 당황하실 분들을 위해 구글 고객센터와 통화해 해결하면서 알아낸 것들을 공유하겠습니다.

IFTTT의 새로운 앱 'Do'

IFTTT 는 간단하게 정의하면 온라인 자동화 서비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블로그에 포스팅을 하고 이 글을 SNS에 공유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각 SNS마다 직접 공유 포스팅을 하거나 Buffer와 같은 서비스를 사용해 공유 포스팅을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IFTTT는 이런 과정없이 블로그에 새로운 글이 등록되면 이것을 IFTTT에서 감지해 자동으로 SNS에 공유 포스팅이 등록되게 해줄 수 있습니다. 블로그를 예로 들었지만 IFTTT는 온라인 서비스들을 사용할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들을 감지해 자동화해줄 수 있는 편리한 서비스입이다. 이런 IFTTT에서 기존 앱의 이름을 IF로 바꾸고 별도의 새로운 앱인 'Do' 시리즈 를 출시하였습니다.

안드로이드 N의 '프리폼 윈도우 모드(freeform window mode)'

안드로이드 N의 개발자 프리뷰에서 가장 큰 변화는 멀티 윈도우 지원이었습니다. 그런데, 프리뷰가 발표된 이후 숨겨진 옵션으로 단순 멀티 윈도우가 아닌 일반 PC OS들처럼 윈도우의 크기와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프리폼 윈도우 모드(freeform window mode)'가 존재한다라는 사실이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이 윈도우 모드는 개발자 프리뷰에서는 활성화되어 있지 않았지만 구글의 공식 문서에도 언급이 되어 있는 옵션이었습니다. 어떤 모습인지 궁금하였던 '프리폼 윈도우 모드'의 작동하는 모습이 담긴 영상이 인터넷에 올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