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구글 I/O 2013과 갤럭시S4 구글 에디션 : 안드로이드는 어디로 가고 있나?

전 세계 개발자들의 관심이 집중되었던 구글 I/O 2013. 저도 키노트를 라이브로 2/3 정도까지 보았는데 흥미로운 발표가 많았습니다. 그러나, 라이브로 볼때도 그랬고 다음날 관련 뉴스들을 살펴 보았을때 가장 의문이 되었던 것은 두가지 입니다. 안드로이드 관련 새로운 OS와 하드웨어가 없다와 갤럭시S4 구글 에디션의 정체(?)입니다.




도대체 이놈을 왜 만들었을까요?

넥서스라는 이름을 붙인 것도 아니고 하드웨어를 순정 안드로이드에 맞게 변형한 것도 아니고 가격이 싼 것도 아니고.

관련해서 분석을 하신 분들의 글을 보고나서 제 나름대로 정리가 된 것은 구글이 안드로이드 관련해서 먼가 지금까지와는 다른 결정을 하였다라는 것입니다.

가장 쉽게 생각해볼 수 있는 것은 크롬을 담당하고 있던 선다 피차이가 안드로이드까지 담당하게 되면서 생긴 변화입니다. 선다 피차이가 안드로이드를 담당하기 전까지 구글의 두 플랫폼 중 승자는 안드로이드였습니다. 작년 구글 I/O는 마치 안드로이드의 축제같은 분위기였고 그에 반해 크롬OS는 계속 노력은 하고 있지만 안드로이드에 비하면 존재감이 약하였습니다.




두 플랫폼을 하나의 인물이 관리하게 된 것을 기업으로 비유하자면 한쪽으로 인수합병이 된 것인데 그 흡수를 하는 주체가 잘나가던 쪽이 아니라는 것이 특이한 모양새였고 따라서 이 인수합병은 단순히 현재 두 플랫폼의 상황만 놓고 결정한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구글이 가지고 갈 플랫폼을 선택했다고 볼 수 있는 것입니다.

처음 선다 피차이가 안드로이드까지 맡게 되었다라는 뉴스를 보았을때 의문시되었던 위 사항이 이번 구글 I/O 행사를 통해 좀더 명확해진 모양새가 되었습니다. 어떤 분이 블로그에 올리신 글처럼 구글이 자신들의 메인 플랫폼인 웹에 충실하기 위해 장기적으로 안드로이드를 포기할 수도 있을 것이고 아니면 안드로이드 위에 크롬OS를 올리는 형태로 진화해 나갈 수도 있을 것입니다.

구글 I/O에서 발표될 것 같았던 안드로이드 4.3은 6월에 화이트 넥서스4와 함께 발표될 것이다라는 새로운(!) 루머도 있기에 아직은 가을에 있을 안드로이드 행사때까지는 지켜봐야 할 상황이지만 이번 구글 I/O는 여러 면에서 안드로이드를 지켜보는 시선을 불안하게 만드는 행사였습니다.


====

2013.05.31 추가

선다 피차이에 의해 HTC One 구글 에디션이 공식 언급되었습니다. 가격도 갤스4 구글 에디션보다 싼 $599 라고 합니다.

이로써 갤스4 구글 에디션은 국내 일부 언론에서 설레발친 것과는 달리 새로운 레퍼런스와 같은 존재는 아니라는 것이 확인된 것 같습니다. 또한 자체 OS에 자체 하드웨어를 가지고 간다라는 기존 넥서스 프로그램의 변화도 확인이 된 것 같습니다.

남은 것은 과연 구글이 넥서스 하드웨어를 계속 생산할 것인가 하는 것입니다. 예전 선다 피차이가 당장 중지하지는 않는다고 언급을 헀기에 1,2년 정도는 유지를 하겠지만 구글이라는 기업 특성상 점점 이번 구글 에디션과 같이 하드웨어 제조사가 자사 제품에 순정 안드로이드를 사용하는 형태로 유도를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렇게 되면 안드로이드는 OS 개발사와 하드웨어 제조사의 역할 분담이 MS 윈도와 같은 모양새가 되는데 전 이 방향이 맞다고 봅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구글 결제에서 결제 수단 등록 문제

얼마 전 카드를 새로 만들어서 구글 결제의 결제 수단을 교체하려고 하였는데 카드 번호가 잘못되었다라고 하면서 등록이 되지 않았습니다. 관련해서 검색을 해보니 이런 문제가 흔히 발생하고 있더군요. 저처럼 당황하실 분들을 위해 구글 고객센터와 통화해 해결하면서 알아낸 것들을 공유하겠습니다.

IFTTT의 새로운 앱 'Do'

IFTTT 는 간단하게 정의하면 온라인 자동화 서비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블로그에 포스팅을 하고 이 글을 SNS에 공유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각 SNS마다 직접 공유 포스팅을 하거나 Buffer와 같은 서비스를 사용해 공유 포스팅을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IFTTT는 이런 과정없이 블로그에 새로운 글이 등록되면 이것을 IFTTT에서 감지해 자동으로 SNS에 공유 포스팅이 등록되게 해줄 수 있습니다. 블로그를 예로 들었지만 IFTTT는 온라인 서비스들을 사용할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들을 감지해 자동화해줄 수 있는 편리한 서비스입이다. 이런 IFTTT에서 기존 앱의 이름을 IF로 바꾸고 별도의 새로운 앱인 'Do' 시리즈 를 출시하였습니다.

안드로이드 N의 '프리폼 윈도우 모드(freeform window mode)'

안드로이드 N의 개발자 프리뷰에서 가장 큰 변화는 멀티 윈도우 지원이었습니다. 그런데, 프리뷰가 발표된 이후 숨겨진 옵션으로 단순 멀티 윈도우가 아닌 일반 PC OS들처럼 윈도우의 크기와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프리폼 윈도우 모드(freeform window mode)'가 존재한다라는 사실이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이 윈도우 모드는 개발자 프리뷰에서는 활성화되어 있지 않았지만 구글의 공식 문서에도 언급이 되어 있는 옵션이었습니다. 어떤 모습인지 궁금하였던 '프리폼 윈도우 모드'의 작동하는 모습이 담긴 영상이 인터넷에 올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