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KT 올레 인터넷의 구글 플레이 무비 속도 문제



구글 플레이 무비 서비스가 한국에 런칭해서 가끔 사용을 하고 있는데 좀 특이한 속도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리저리 테스트를 해보다 결론은 KT 인터넷의 문제였고 지금은 LG U+ 인터넷으로 서비스 업체를 변경해 아무 문제없이 사용을 하고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다른 분들에게 참고가 될까해서 제가 확인한 이 문제관련 사항들을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일단 제가 겪은 문제의 핵심은 '구글 플레이 무비의 HD 영상은 대역폭이 부족하다라는 메시지와 함께 재생이 되지 않는다'라는 것입니다. 인터넷을 사용하다가 일상적으로 볼 수 있는 문제죠? 그래서, 저도 구글이 국내 업체가 아니니 역시 문제가 좀 있나하면서 그냥 일반 화질로 사용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우연히 무선랜으로 보던 같은 영상을 3G로 볼 상황이 생겼는데 HD 영상이 3G에서는 큰 문제없이 플레이가 되는 것이었습니다. 구글 플레이 무비에 한해서는 3G보다 느린 무선랜이라는 결론인거죠. LTE도 아닌 3G보다 느린 인터넷이라니 말이 되나요... ㅡ.ㅡ;

좀 황당해서 검색을 해보니 무선랜 AP에 따라 모바일 기기와의 호환성이 안좋은 것이 있다라는 글들이 있었습니다. 사용하던 AP가 좀 오래된 모델이니 이 기회에 교체를 하는 것도 좋을 것 같아 호환성이 괜찮다라는 업체 것을 새로 구매를 해서 테스트를 해보았습니다.

결론은 구글 플레이 무비에 한해서는 똑같이 느리다였습니다. ㅡ.ㅡ;

속도 테스트를 하다 생각난 것이 지금까지 유튜브의 HD 영상은 항상은 아니지만 시청을 하는데 큰 문제가 없었던 경우가 많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쯤되면 모바일 기기나 AP의 문제라기 보다는 인터넷 서비스 업체가 의심이 되기 시작하죠?

즉, KT 인터넷은 구글 플레이 무비의 전송 속도에 문제가 있다라는 것이죠. 그것이 의도적인 속도 제한이든 아니면 KT 회선 문제이든 간에요.

결국 인터넷 서비스 업체 중 구글TV 서비스를 하고 있는 LG U+로 서비스 업체를 바꾸었습니다. 무선랜 AP에다가 서비스 업체까지...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도 아닌 것을 해결하기 위해 좀 대공사를 하는 느낌이지만 제 성격이 문제가 있다라는 생각이 들면 일단 해결을 보아야 직성이 풀리는 성격이라서요 ^^;

LG 인터넷이 개통되고 바로 구글 플레이 무비를 테스트 해보았습니다. HD 영상이 아무 문제없이 플레이가 됩니다. 역시 KT 인터넷이 문제였던 것이었습니다. KT가 LG보다 과연 회선 상황이 나빠서 그랬던 것일까요? 전 그렇지는 않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다른 이유가 있는 것이죠. KT쪽 상담원분도 해지 사유로 구글 서비스 이야기를 하니 그 부분에 대해서는 특별한 해명은 하지 않고 인정하는 분위기더군요.

어쨌든 구글 플레이 무비 전송 속도 문제는 이렇게 서비스 업체 변경으로 해결을 하였습니다. 여담이지만 전 인터넷과 IPTV를 같이 사용하고 있는데 KT 서비스를 오래 사용하다보니 아직은 LG U+의 TV G 서비스의 인터페이스가 영 어색하네요.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구글 결제에서 결제 수단 등록 문제

얼마 전 카드를 새로 만들어서 구글 결제의 결제 수단을 교체하려고 하였는데 카드 번호가 잘못되었다라고 하면서 등록이 되지 않았습니다. 관련해서 검색을 해보니 이런 문제가 흔히 발생하고 있더군요. 저처럼 당황하실 분들을 위해 구글 고객센터와 통화해 해결하면서 알아낸 것들을 공유하겠습니다.

IFTTT의 새로운 앱 'Do'

IFTTT 는 간단하게 정의하면 온라인 자동화 서비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블로그에 포스팅을 하고 이 글을 SNS에 공유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각 SNS마다 직접 공유 포스팅을 하거나 Buffer와 같은 서비스를 사용해 공유 포스팅을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IFTTT는 이런 과정없이 블로그에 새로운 글이 등록되면 이것을 IFTTT에서 감지해 자동으로 SNS에 공유 포스팅이 등록되게 해줄 수 있습니다. 블로그를 예로 들었지만 IFTTT는 온라인 서비스들을 사용할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들을 감지해 자동화해줄 수 있는 편리한 서비스입이다. 이런 IFTTT에서 기존 앱의 이름을 IF로 바꾸고 별도의 새로운 앱인 'Do' 시리즈 를 출시하였습니다.

안드로이드 N의 '프리폼 윈도우 모드(freeform window mode)'

안드로이드 N의 개발자 프리뷰에서 가장 큰 변화는 멀티 윈도우 지원이었습니다. 그런데, 프리뷰가 발표된 이후 숨겨진 옵션으로 단순 멀티 윈도우가 아닌 일반 PC OS들처럼 윈도우의 크기와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프리폼 윈도우 모드(freeform window mode)'가 존재한다라는 사실이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이 윈도우 모드는 개발자 프리뷰에서는 활성화되어 있지 않았지만 구글의 공식 문서에도 언급이 되어 있는 옵션이었습니다. 어떤 모습인지 궁금하였던 '프리폼 윈도우 모드'의 작동하는 모습이 담긴 영상이 인터넷에 올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