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2015년 구글 신제품 발표 이벤트 : 혼돈의 정리



2015년 9월 29일 구글은 다양한 제품들을 발표하는 이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구글만이 아니라 다른 회사들도 마찬가지이지만 하드웨어 제품들은 대부분 이미 루머를 통해 알려진 것들이라 깜짝쇼보다는 공식 발표라는 형태가 되었습니다. 이번 발표에서 소개된 각 제품들에 대한 상세한 스펙과 가격은 온라인 상에 있는 많은 포스팅들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이라 제품 설명이 아닌 이벤트를 보면서 느낀 점을 정리해보겠습니다.

마지막에 발표된 픽셀의 안드로이드 태블릿인 픽셀 C까지 지켜보면서 들었던 생각은 구글의 하드웨어 브랜드들의 역할 분담이었습니다. 넥서스가 구글의 아이폰이 되기를 원했던 앤디 루빈 시절에는 넥서스 시리즈가 구글 하드웨어의 중심이었는데 이제는 넥서스,픽셀,크롬캐스트가 모바일(스마트폰),PC,미디어라는 각각의 영역을 분담하는 형태가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하나의 브랜드/플랫폼의 통합된 힘보다는 각각 개별 팀들이 자신만의 영역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시너지를 내는 구글스러운 접근이라고 할까요? 이런 이유로 이번 넥서스 시리즈는 2012년 넥서스 7이 나온 이후 처음으로 태블릿없이 폰만 발표하는 형태가 되었습니다. 넥서스 태블릿이 다시 나온다고 해도 - 나오지 않을 가능성이 크지만 - 아마 7,8인치의 미디어 태블릿 형태가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번 이벤트에서 흥미로웠던 또다른 점 하나는 새로운 크롬캐스트 앱입니다. 디자인이 개선되고 성능이 좋아진 뉴 크롬캐스트와 함께 발표된 새로운 크롬캐스트 앱은 연결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관리해주는 정도의 기능만 있었던 기존 앱과는 달리 미디어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는 형태로 진화하였습니다. 아직 국내에서는 이 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것지만 새로운 크롬캐스트 앱에서는 크롬캐스트를 지원하는 서비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표시해주고 검색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런 변화로 크롬캐스트 앱 자체가 하나의 VOD 서비스처럼 보이게 되었는데 이 자체는 좋은 아이디어이지만 넥서스 플레이어 - 안드로이드 TV의 위치가 좀 불안해보이게 하는 크롬캐스트의 발전이었습니다.

처음 이번 이벤트에 두개의 넥서스 폰이 발표될 것이다라는 루머를 접했을 때 구글이 도대체 무슨 생각일까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레퍼런스 폰이라는 위치를 가지고 있는 넥서스 폰이 두개나 나올 이유가 있을까하는 생각이었는데 실제 발표를 보고나니 넥서스 브랜드의 영역을 좁히고 그 안에서 제품을 좀더 다양화하는 형태의 전략이라는 느낌이었습니다. 동시에 엔디 루빈이 물러나고 선다 피차이가 총괄이 되면서 생기고 있었던 구글 하드웨어 브랜드간의 혼선도 어느 정도 정리가 된 것 같았습니다.


===


Project just4fun : http://www.just4fun.kr/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구글 결제에서 결제 수단 등록 문제

얼마 전 카드를 새로 만들어서 구글 결제의 결제 수단을 교체하려고 하였는데 카드 번호가 잘못되었다라고 하면서 등록이 되지 않았습니다. 관련해서 검색을 해보니 이런 문제가 흔히 발생하고 있더군요. 저처럼 당황하실 분들을 위해 구글 고객센터와 통화해 해결하면서 알아낸 것들을 공유하겠습니다.

IFTTT의 새로운 앱 'Do'

IFTTT 는 간단하게 정의하면 온라인 자동화 서비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블로그에 포스팅을 하고 이 글을 SNS에 공유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각 SNS마다 직접 공유 포스팅을 하거나 Buffer와 같은 서비스를 사용해 공유 포스팅을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IFTTT는 이런 과정없이 블로그에 새로운 글이 등록되면 이것을 IFTTT에서 감지해 자동으로 SNS에 공유 포스팅이 등록되게 해줄 수 있습니다. 블로그를 예로 들었지만 IFTTT는 온라인 서비스들을 사용할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들을 감지해 자동화해줄 수 있는 편리한 서비스입이다. 이런 IFTTT에서 기존 앱의 이름을 IF로 바꾸고 별도의 새로운 앱인 'Do' 시리즈 를 출시하였습니다.

안드로이드 N의 '프리폼 윈도우 모드(freeform window mode)'

안드로이드 N의 개발자 프리뷰에서 가장 큰 변화는 멀티 윈도우 지원이었습니다. 그런데, 프리뷰가 발표된 이후 숨겨진 옵션으로 단순 멀티 윈도우가 아닌 일반 PC OS들처럼 윈도우의 크기와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프리폼 윈도우 모드(freeform window mode)'가 존재한다라는 사실이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이 윈도우 모드는 개발자 프리뷰에서는 활성화되어 있지 않았지만 구글의 공식 문서에도 언급이 되어 있는 옵션이었습니다. 어떤 모습인지 궁금하였던 '프리폼 윈도우 모드'의 작동하는 모습이 담긴 영상이 인터넷에 올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