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사람은 자신의 목숨을 인공지능에게 맡길 수 있을까?



영화 아이로봇의 주인공이 로봇에 대해 트라우마를 가지게 된 것은 자신이 교통사고가 당했을때 구조하러 온 로봇이 옆 차량의 어린아이를 구하지 않고 자신을 구한 것 때문입니다. 사람이라면 어린아이를 먼저 구하려고 했을 것이나 로봇은 자신이 계산한 살릴 수 있는 확률이 어린아이보다 주인공이 더 높다라는 이유로 주인공을 구한 것이죠. SF 소설이나 영화에서 나오던 이런 상황이 실제 현실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테크니들에 외국 기사를 인용한 '왜 무인 자동차는 사람을 죽일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는가'라는 제목의 기사가 실렸습니다. 자극적인 제목이지만 기사 내용은 기사를 읽을 사람에게 생각할 많은 것들을 주고 있습니다. 인공지능으로 운전되는 차량이 주행 중 갑자기 길에 많은 사람이 나타나 충돌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었다라고 상상해보시길 바랍니다. 그런 상황에서 차량의 인공지능은 어떻게 해야할까요? 운전자를 지키기 위해 많은 사람을 다치게 해야할까요? 아니면 반대로 더 많은 사람을 살리기 위해 운전자를 희생시켜야할까요? 이 글의 제목처럼 '사람은 자신의 목숨을 인공지능에게 맡길 수 있을까?'라는 것이죠.

이 질문에 정답이 있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다양한 상황이 있을 수 있고 사람 목숨의 가치를 단순히 숫자 - 사람 숫자가 많은 쪽을 무조건 우선한다 - 로 판단할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우리가 영화속에서나 들었던 질문을 현실에서 받고있다라는 것입니다. 과연 우리는 어떤 해답을 찾을까요? 명확한 것은 기사에도 있듯이 이런 윤리적인 고민이 인공지능의 기술발전과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라는 것입니다.


===


Project just4fun : http://www.just4fun.kr/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구글 결제에서 결제 수단 등록 문제

얼마 전 카드를 새로 만들어서 구글 결제의 결제 수단을 교체하려고 하였는데 카드 번호가 잘못되었다라고 하면서 등록이 되지 않았습니다. 관련해서 검색을 해보니 이런 문제가 흔히 발생하고 있더군요. 저처럼 당황하실 분들을 위해 구글 고객센터와 통화해 해결하면서 알아낸 것들을 공유하겠습니다.

IFTTT의 새로운 앱 'Do'

IFTTT 는 간단하게 정의하면 온라인 자동화 서비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블로그에 포스팅을 하고 이 글을 SNS에 공유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각 SNS마다 직접 공유 포스팅을 하거나 Buffer와 같은 서비스를 사용해 공유 포스팅을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IFTTT는 이런 과정없이 블로그에 새로운 글이 등록되면 이것을 IFTTT에서 감지해 자동으로 SNS에 공유 포스팅이 등록되게 해줄 수 있습니다. 블로그를 예로 들었지만 IFTTT는 온라인 서비스들을 사용할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들을 감지해 자동화해줄 수 있는 편리한 서비스입이다. 이런 IFTTT에서 기존 앱의 이름을 IF로 바꾸고 별도의 새로운 앱인 'Do' 시리즈 를 출시하였습니다.

안드로이드 N의 '프리폼 윈도우 모드(freeform window mode)'

안드로이드 N의 개발자 프리뷰에서 가장 큰 변화는 멀티 윈도우 지원이었습니다. 그런데, 프리뷰가 발표된 이후 숨겨진 옵션으로 단순 멀티 윈도우가 아닌 일반 PC OS들처럼 윈도우의 크기와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프리폼 윈도우 모드(freeform window mode)'가 존재한다라는 사실이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이 윈도우 모드는 개발자 프리뷰에서는 활성화되어 있지 않았지만 구글의 공식 문서에도 언급이 되어 있는 옵션이었습니다. 어떤 모습인지 궁금하였던 '프리폼 윈도우 모드'의 작동하는 모습이 담긴 영상이 인터넷에 올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