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신문의 미래 : 콘텐츠의 힘?



이번 추석 연휴에 올라온 경향신문의 기사 중 ‘창간 기획 - 신문의 미래’라는 글이 있었습니다. ‘신문의 미래’. 뻔하지만 클릭을 유도하는 제목이죠? 미디어쪽에 종사하지는 않지만 디지털 미디어에 관심이 있기에 한번 읽어보았는데 기사를 읽으면서 들었던 제 생각을 적어보겠습니다.

기사의 전체 제목은 ‘[창간 기획-신문의 미래]“종이든 모바일이든 ‘진보’ 이름값 하는 좋은 콘텐츠가 답이다”’ 입니다. 제목만 본다면 ‘신문의 미래’에 대해 나름의 비전을 제시할 듯하지만 기사를 끝까지 읽어보면 ‘답이 없다’가 결론입니다. 기사의 마지막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앞으로 더 험난할 미디어 생태계에서 무엇을 해야 할까? 왜 ‘경향신문’이어야 하는지 현장 취재와 좋은 기사로 증명하는 것 말곤 다른 답은 잘 모르겠다. 미래에 관한 고민은 잠시 미뤄두련다.

그렇습니다. ‘신문의 미래’에 대한 고민은 잠시 미뤄두고 그냥 열심히 기사를 쓰겠다입니다. 용두사미라고도 할 수 있는 기사이지만 그 누구도 명확한 답을 주지 못하고 있는 신문과 잡지의 현실을 생각하면 이해가 가기도 합니다.

기억이 정확하지는 않지만 예전에 세계신문협회 회장이었나 하는 사람이 ‘미디어가 콘텐츠로 돈을 버는 시대는 지나갔다’라는 내용을 이야기 한적이 있습니다. 저는 이것이 ‘신문의 미래’에 대한 가장 현실적인 판단이라고 생각합니다. 콘텐츠를 이용한 전통적인 수익원에서 충분히 의미있는 수익을 낼 수 있는 것은 뉴욕타임즈와 같이 극소수의 미디어뿐이고 일반적인 미디어들은 ‘기사도 쓰는’ 회사로 변화할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제가 앞에서 이야기한 것도 ‘신문의 미래’에 대해 논의할 때 나오는 대안들 중 하나일 뿐입니다. 정답은 아직 아무도 모르죠. 다만, 미디어에서 자신들의 미래를 생각할때 함정 중 하나가 ‘콘텐츠’의 힘을 너무 믿는다라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의 콘텐츠가 좋기 때문에 웹과 SNS에 열심히 기사를 올리면 독자들이 볼 것이다’라고 생각하는 것이죠. 과연 그럴까요?


===


Project just4fun : http://www.just4fun.kr/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구글 결제에서 결제 수단 등록 문제

얼마 전 카드를 새로 만들어서 구글 결제의 결제 수단을 교체하려고 하였는데 카드 번호가 잘못되었다라고 하면서 등록이 되지 않았습니다. 관련해서 검색을 해보니 이런 문제가 흔히 발생하고 있더군요. 저처럼 당황하실 분들을 위해 구글 고객센터와 통화해 해결하면서 알아낸 것들을 공유하겠습니다.

IFTTT의 새로운 앱 'Do'

IFTTT 는 간단하게 정의하면 온라인 자동화 서비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블로그에 포스팅을 하고 이 글을 SNS에 공유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각 SNS마다 직접 공유 포스팅을 하거나 Buffer와 같은 서비스를 사용해 공유 포스팅을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IFTTT는 이런 과정없이 블로그에 새로운 글이 등록되면 이것을 IFTTT에서 감지해 자동으로 SNS에 공유 포스팅이 등록되게 해줄 수 있습니다. 블로그를 예로 들었지만 IFTTT는 온라인 서비스들을 사용할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들을 감지해 자동화해줄 수 있는 편리한 서비스입이다. 이런 IFTTT에서 기존 앱의 이름을 IF로 바꾸고 별도의 새로운 앱인 'Do' 시리즈 를 출시하였습니다.

안드로이드 N의 '프리폼 윈도우 모드(freeform window mode)'

안드로이드 N의 개발자 프리뷰에서 가장 큰 변화는 멀티 윈도우 지원이었습니다. 그런데, 프리뷰가 발표된 이후 숨겨진 옵션으로 단순 멀티 윈도우가 아닌 일반 PC OS들처럼 윈도우의 크기와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프리폼 윈도우 모드(freeform window mode)'가 존재한다라는 사실이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이 윈도우 모드는 개발자 프리뷰에서는 활성화되어 있지 않았지만 구글의 공식 문서에도 언급이 되어 있는 옵션이었습니다. 어떤 모습인지 궁금하였던 '프리폼 윈도우 모드'의 작동하는 모습이 담긴 영상이 인터넷에 올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