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파나소닉, 루믹스 G9 발표



파나소닉에서 G 시리즈의 최신 기종인 G9을 발표하였습니다. 최상위 모델인 GH5가 동영상쪽에 힘을 실을 모델이라면 G9은 사진에 최적화된 모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스펙은 정말 화려한데 핵심이 되는 기본 스펙만 정리해 살펴보면,

  • 센서 : 4/3인치 Live Mos. 유효화소 2000만 화소 (로우 패스 필터 없음)
  • 센서 시프트 방식의 5축 손떨림 보정 (최대 6.5 스톱 보정)
  • 뷰파인더 : EVF 368만 화소, 100% 시야율, 1.66배 (35mm 카메라 기준으로는 0.83배)
  • 감도 : ISO 200 ~ ISO 25600. (확장감도 ISO 100 지원)
  • 셔터스피드 : 기계식 1/8000초 ~ 60초
  • 6K 포토 : 6K(1800만 화소) 30fps, 4K(800만 화소) 60fps
  • 8000만 화소 고해상도 모드 : 8장 연속 촬영 이미지 합성
  • 방진 방적 및 영하 10도까지의 내저온 기능
  • 크기 : 136mm x 97mm x 91mm
  • 무게 : 658g (본체, 배터리, 메모리 카드 포함)
  • 가격 : 바디 1,699달러

앞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현재 마포에서 구현 가능한 사진관련 기능은 모두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는 카메라입니다. 카메라 자체로서는 불만의 요소가 거의 없는 제품이나 문제는 이 카메라가 ‘마이크로 포서드’라는데 있을 것입니다.

제가 덩치가 커지는 마포 카메라관련 포스팅을 할때마다 언급하는 것이지만 이렇게 카메라 덩치와 스펙을 키워 센서 크기가 큰 제품들과 경쟁하려는 시도는 이미 포서드 시절에 실패하였습니다. 컴팩트 카메라 시장이 죽었기에 마포 제조사들에게 선택지가 없을 수도 있지만 이미 실패한 전략이라는 것이 문제입니다. 다만, G9은 “a nature photographer’s best friend”라는 홈페이지 홍보 문구를 보아도 알 수 있듯이 타겟이 아웃도어 사진가들입니다. 장비 크기와 무게에 민감한 분야의 사진가들을 타겟으로 한 것은 스튜디오 촬영을 주로하는 상업 사진가들을 홍보 모델로 사용했던 포서드 시절보다는 좋은 전략이라고 생각됩니다.

GX 시리즈가 덩치를 키우면서 포지션이 애매해졌던 G 시리즈가 제대로 신 모델을 내놓으면서 또다시 GX 시리즈와의 포지션 문제가 생긴 것 같기는 한데 일단 제품은 잘 나왔으니 어려운 도전이지만 아웃도어 사진가들을 공략하려는 파나소닉의 전략이 성공할지 지켜봐야할 것 같습니다.




===


Project just4fun : http://www.just4fun.kr/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구글 결제에서 결제 수단 등록 문제

얼마 전 카드를 새로 만들어서 구글 결제의 결제 수단을 교체하려고 하였는데 카드 번호가 잘못되었다라고 하면서 등록이 되지 않았습니다. 관련해서 검색을 해보니 이런 문제가 흔히 발생하고 있더군요. 저처럼 당황하실 분들을 위해 구글 고객센터와 통화해 해결하면서 알아낸 것들을 공유하겠습니다.

IFTTT의 새로운 앱 'Do'

IFTTT 는 간단하게 정의하면 온라인 자동화 서비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블로그에 포스팅을 하고 이 글을 SNS에 공유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각 SNS마다 직접 공유 포스팅을 하거나 Buffer와 같은 서비스를 사용해 공유 포스팅을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IFTTT는 이런 과정없이 블로그에 새로운 글이 등록되면 이것을 IFTTT에서 감지해 자동으로 SNS에 공유 포스팅이 등록되게 해줄 수 있습니다. 블로그를 예로 들었지만 IFTTT는 온라인 서비스들을 사용할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들을 감지해 자동화해줄 수 있는 편리한 서비스입이다. 이런 IFTTT에서 기존 앱의 이름을 IF로 바꾸고 별도의 새로운 앱인 'Do' 시리즈 를 출시하였습니다.

안드로이드 N의 '프리폼 윈도우 모드(freeform window mode)'

안드로이드 N의 개발자 프리뷰에서 가장 큰 변화는 멀티 윈도우 지원이었습니다. 그런데, 프리뷰가 발표된 이후 숨겨진 옵션으로 단순 멀티 윈도우가 아닌 일반 PC OS들처럼 윈도우의 크기와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프리폼 윈도우 모드(freeform window mode)'가 존재한다라는 사실이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이 윈도우 모드는 개발자 프리뷰에서는 활성화되어 있지 않았지만 구글의 공식 문서에도 언급이 되어 있는 옵션이었습니다. 어떤 모습인지 궁금하였던 '프리폼 윈도우 모드'의 작동하는 모습이 담긴 영상이 인터넷에 올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