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안드로이드와 iOS 사용자가 다른 OS를 선택하는 이유



안드로이드와 iOS 두 모바일 OS 사용자들이 다른 OS로 기변하는데에는 여러 이유가 있을 것입니다. 가격이나 호기심 등등으로요. 9to5Mac에 두 OS 사용자들간의 이동 이유에 대해 분석한 기사가 실렸기에 기사에서 이야기한 이동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포스팅 처음에 있는 이미지가 두 모바일 OS 사용자들이 다른 OS로 이동하는 이유를 분석한 표인데 이 표에는 좀 이상한 부분이 있습니다. 안드로이드에서 iOS로의 이동 이유에는 가장 높은 수치인 사용자 경험에 중요 표시를 한 반면 iOS에서 안드로이드로의 이동 이유에는 두번째로 높은 수치(29%)인 가격에 표시를 하였습니다. iOS에서 안드로이드의 이동 이유도 큰 차이는 아니지만 가장 수치(30%)가 높은 것은 사용자 경험입니다. 이 표를 만든 사람은 ‘iOS에서 안드로이드의 이동 이유가 사용자 경험일리가 없어!!’라고 외치고 싶은 애플 팬보이일까요? 또한 기사에서 OS간 이동의 중요 이유로 가격을 언급하고 있지만 표를 보면 가격은 2,3번째 이유입니다. 먼가 좀 이상한 분석입니다.

어쨌든 이동 이유를 분석한 표에서 흥미로운 것은 어느 방향으로든 이유는 비슷하다라는 것입니다. 안드로이드에서 iOS로의 이동 이유는 사용자 경험(47%),기능(25%),가격(11%)의 순이고 반대로 iOS에서 안드로이드로의 이동 이유는 사용자 경험(30%),가격(29%),기능(24%) 입니다. 9to5Mac의 기사는 이동 방향에 따라 다른 점을 부각하려고 하는 듯 하지만 저는 생각이 좀 다릅니다. 각 OS의 장점인 사용자 경험과 가격 부분에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지만 다른 OS를 선택하는 이유 자체가 크게 다르지는 않다라고 봅니다.

9to5Mac 기사의 제목은 두 OS간의 이동 이유이지만 71%의 사용자들이 다른 OS로 이동하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 위에서 이야기한 두 OS간의 비슷한 이동 이유와 연결해 생각해 본다면 서로를 참조해 가면서 발전한 두 OS가 충분히 성숙한 현재 시점에서의 OS 선택은 각 OS의 골수 사용자들의 생각과는 달리 그냥 취향의 차이일지도 모르겠다라는 생각이 듭니다.


===


Project just4fun : http://www.just4fun.kr/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구글 결제에서 결제 수단 등록 문제

얼마 전 카드를 새로 만들어서 구글 결제의 결제 수단을 교체하려고 하였는데 카드 번호가 잘못되었다라고 하면서 등록이 되지 않았습니다. 관련해서 검색을 해보니 이런 문제가 흔히 발생하고 있더군요. 저처럼 당황하실 분들을 위해 구글 고객센터와 통화해 해결하면서 알아낸 것들을 공유하겠습니다.

IFTTT의 새로운 앱 'Do'

IFTTT 는 간단하게 정의하면 온라인 자동화 서비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블로그에 포스팅을 하고 이 글을 SNS에 공유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각 SNS마다 직접 공유 포스팅을 하거나 Buffer와 같은 서비스를 사용해 공유 포스팅을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IFTTT는 이런 과정없이 블로그에 새로운 글이 등록되면 이것을 IFTTT에서 감지해 자동으로 SNS에 공유 포스팅이 등록되게 해줄 수 있습니다. 블로그를 예로 들었지만 IFTTT는 온라인 서비스들을 사용할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들을 감지해 자동화해줄 수 있는 편리한 서비스입이다. 이런 IFTTT에서 기존 앱의 이름을 IF로 바꾸고 별도의 새로운 앱인 'Do' 시리즈 를 출시하였습니다.

안드로이드 N의 '프리폼 윈도우 모드(freeform window mode)'

안드로이드 N의 개발자 프리뷰에서 가장 큰 변화는 멀티 윈도우 지원이었습니다. 그런데, 프리뷰가 발표된 이후 숨겨진 옵션으로 단순 멀티 윈도우가 아닌 일반 PC OS들처럼 윈도우의 크기와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프리폼 윈도우 모드(freeform window mode)'가 존재한다라는 사실이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이 윈도우 모드는 개발자 프리뷰에서는 활성화되어 있지 않았지만 구글의 공식 문서에도 언급이 되어 있는 옵션이었습니다. 어떤 모습인지 궁금하였던 '프리폼 윈도우 모드'의 작동하는 모습이 담긴 영상이 인터넷에 올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