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구글 결제에서 결제 수단 등록 문제



얼마 전 카드를 새로 만들어서 구글 결제의 결제 수단을 교체하려고 하였는데 카드 번호가 잘못되었다라고 하면서 등록이 되지 않았습니다. 관련해서 검색을 해보니 이런 문제가 흔히 발생하고 있더군요. 저처럼 당황하실 분들을 위해 구글 고객센터와 통화해 해결하면서 알아낸 것들을 공유하겠습니다.

1. 구글 사용자와 카드 소유자가 일치하여야 합니다.

이건 구글 결제 수단 등록 문제를 검색해보면 나오는 가장 기본적인 확인 사항입니다. 구글 결제의 결제 프로필과 카드 소유자가 일치하여야 합니다.

2. 한국에서는 구글 결제가 아닌 구글 플레이에서 결제 수단을 등록하여야 합니다.

구글에서 결제 수단을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는 곳은 구글 결제와 구글 플레이 두 군데가 있는데 구글 결제는 현재 국내 정식 서비스를 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런 이유로 1번 확인 사항에서 결제 프로필에 문제가 없다고 해도 구글 결제 페이지에서는 국내 발급 카드는 등록이 되지 않습니다.

3. 결제 통화 문제

이것은 저와 같이 특이한 케이스에만 해당되는 것인데 구글 플레이에서 카드 등록까지 잘 되었는데 구글 원(구글 드라이브)의 결제 수단 변경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해결이 되지 않아 고객 센터에 문의를 했는데 제가 구글 드라이브를 처음 결제 하였을 때는 달러로 결제가 되었는데 지금 제 계정은 원화 결제 계정이라 결제 통화가 다를 경우 결제 수단 교체가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 결제 통화 문제는 2번과도 연결이 되는 문제인데 구글에서는 각 계정마다 사용할 수 있는 통화가 결정되어 있고 결제 통화가 다른 서비스는 결제관련 작업들을 할 수 없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상담원이 제시한 해결 방법은 현재 구독을 취소한 후 바로 다른 옵션으로 구독을 갱신하는 것이었고 이 방법으로 구글 원의 결제 수단을 변경하였습니다. 같은 옵션으로의 갱신은 구독 만료까지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다른 옵션으로 구독을 새로 하는 것입니다. 변경 후에는 구글 원 구독료가 기존 달러가 아닌 원화로 표시가 되었습니다.

이번 문제를 해결하면서 든 생각은 구글의 다른 서비스들처럼 결제 서비스도 너무 사용자 친화적이지 못하다라는 것입니다. 서비스 지역이나 결제 통화 문제로 작업을 할 수 없다면 관련 내용을 표시 해주어야 사용자가 이해를 하고 다른 방법으로 진행을 하는데 그냥 카드 번호가 틀리다라는 메시지를 표시한다거나 아무런 메시지 없이 등록된 결제 수단을 선택할 수 없게 하고 있습니다. 그나마 상담원 분들이 친절해 문제를 해결했지만 구글은 현재 자신들은 예전처럼 검색 엔진만 만드는 회사가 아니라는 것을 명확하게 인지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


Project just4fun : http://www.just4fun.kr/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IFTTT의 새로운 앱 'Do'

IFTTT 는 간단하게 정의하면 온라인 자동화 서비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블로그에 포스팅을 하고 이 글을 SNS에 공유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각 SNS마다 직접 공유 포스팅을 하거나 Buffer와 같은 서비스를 사용해 공유 포스팅을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IFTTT는 이런 과정없이 블로그에 새로운 글이 등록되면 이것을 IFTTT에서 감지해 자동으로 SNS에 공유 포스팅이 등록되게 해줄 수 있습니다. 블로그를 예로 들었지만 IFTTT는 온라인 서비스들을 사용할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들을 감지해 자동화해줄 수 있는 편리한 서비스입이다. 이런 IFTTT에서 기존 앱의 이름을 IF로 바꾸고 별도의 새로운 앱인 'Do' 시리즈 를 출시하였습니다.

안드로이드 N의 '프리폼 윈도우 모드(freeform window mode)'

안드로이드 N의 개발자 프리뷰에서 가장 큰 변화는 멀티 윈도우 지원이었습니다. 그런데, 프리뷰가 발표된 이후 숨겨진 옵션으로 단순 멀티 윈도우가 아닌 일반 PC OS들처럼 윈도우의 크기와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프리폼 윈도우 모드(freeform window mode)'가 존재한다라는 사실이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이 윈도우 모드는 개발자 프리뷰에서는 활성화되어 있지 않았지만 구글의 공식 문서에도 언급이 되어 있는 옵션이었습니다. 어떤 모습인지 궁금하였던 '프리폼 윈도우 모드'의 작동하는 모습이 담긴 영상이 인터넷에 올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