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구입한 픽셀 슬레이트에서 리눅스 앱을 실행시켜본 후 작성한 후기입니다. 현재 크롬북에서 리눅스 앱을 실행시키는 기능은 베타이니 이점을 고려하시고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크롬북 내부 리눅스 VM의 배포판은 데비안 9.5 : 기능을 활성화시킨 후 리눅스 터미널에서 9.8로 업데이트 가능.
- 리눅스는 영문으로 설정되어 있으나 데비안 한글화 문서를 참고해 설정하면 한글화 가능.
- 크롬북의 한글 입력기로는 한글 입력이 되지 않음. 한글 입력을 위해서는 리눅스에 한글 입력기를 설치하여야 함.
- 시스템을 재부팅하면 한글 입력기를 수동으로 다시 실행시켜야 한글 입력이 가능함.
- 테스트해본 리눅스 앱은 이클립스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 이클립스 : 화면에 표시되는 UI의 크기에 문제가 있음. 가장 문제가 없는 버전은 Photon(4.8).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 이클립스와는 달리 UI에 문제는 없으나 한글 입력이 되지 않음.
- 픽셀 슬레이트에서 이클립스,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실행만 시켜도 시스템 메모리(8G)를 거의 대부분 사용하게 됨.
- 리눅스의 소프트웨어 센터를 통해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면 런처에 수동으로 실행 아이콘을 등록해주어야 함.
크롬북에서 리눅스 앱을 실행시키는 기능을 사용해본 소감은 아직은 가야할 길이 멀다라는 것입니다. 영어권을 제외한다면 입력기 문제는 심각하며 이클립스에서 보이는 UI 호환성 문제도 실제 사용을 하기 힘들게 하고 있습니다. 크롬OS의 장점 중 하나가 편리한 업데이트인데 VM에서 사용하는 리눅스 배포판의 업데이트는 어떻게 할지도 의문입니다. 메모리 사용량도 가볍다라는 크롬OS의 이미지를 무색하게 할 정도이고요.
크롬북에서 리눅스를 사용할 사람들이 대부분 개발자일 것이라고 가정한다면 편의성 부족은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나 개발 환경으로 리눅스를 사용할 생각이라면 그냥 우분투같은 배포판을 일반 노트북에 설치하는 것이 훨씬 편리할 것인데 굳이 크롬북에서 리눅스를 사용할 이유가 있을지 의문입니다. 크롬북에 안드로이드를 결합한 것에 필 받아 리눅스까지 시도해보는 것인지 모르겠으나 과연 이것이 크롬북의 발전인지는 모르겠습니다.
크롬북에서 리눅스를 사용할 사람들이 대부분 개발자일 것이라고 가정한다면 편의성 부족은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나 개발 환경으로 리눅스를 사용할 생각이라면 그냥 우분투같은 배포판을 일반 노트북에 설치하는 것이 훨씬 편리할 것인데 굳이 크롬북에서 리눅스를 사용할 이유가 있을지 의문입니다. 크롬북에 안드로이드를 결합한 것에 필 받아 리눅스까지 시도해보는 것인지 모르겠으나 과연 이것이 크롬북의 발전인지는 모르겠습니다.
===
Project just4fun : http://www.just4fu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