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GDC 2019를 통해 그동안 루머로 전해지던 자사 게이밍 서비스 'Stadia'를 발표했습니다. 루머에서는 콘솔이라고 이야기되었지만 발표된 것은 '플랫폼'이었습니다. 말 그대로 게임 산업 전반을 타겟으로 한 Stadia에 대한 느낌입니다.
게임 스트리밍 플랫폼이라고 발표된 Stadia는 유튜브를 재생할 수 있는 곳이라면 어떤 기기나 게임 콘솔로 만들어주는 서비스입니다. 픽셀북에서 게임을 하다가 옆에 있는 스마트폰,PC로 바로 이어서 플레이하는 것을 발표 현장에서 시연함으로서 박수를 치지 않을 수 없게 만들었습니다. 구글 어시스턴트와의 연동 등 구글이라는 회사가 가진 장기를 게임이라는 장르로 표현한 듯 하다라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발표 내용에서 가장 눈길이 가는 것은 배틀로얄처럼 많은 사람이 접속하는 멀티플레이 게임도 지원을 한다라는 부분이었는데 실제 서비스가 되어야 정말 플레이에 문제가 없는 것인지 알 수 있는 것이지만 기대가 많이 가는 발표였습니다.
Stadia 발표 영상이나 관련 기사들을 보면서 든 생각 중 하나는 Stadia는 단순히 게임 콘솔들을 타겟으로 할 뿐만 아니라 트위치를 겨누고 있다라는 것이었습니다. 게임 트레일러에서 바로 게임을 할 수 있고 쉬운 게임 방송 공유와 함께 방송 중인 유튜버의 게임에 시청자가 바로 참여를 할 수 있는 등 트위치 입장에서는 위협이 될만한 기능들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유튜브의 실시간 서비스가 트위치에 비해 부족한 점이 많지만 Stadia가 안착을 한다면 유튜브로서는 트위치의 자리를 노려볼 만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구글이라는 회사가 신규 서비스에 대해 집중력이 부족한 경우들이 많아 실제 서비스 후 지켜봐야겠지만 Stadia의 경우 어설프게 콘솔을 만들지 않고 위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자신들이 잘하는 것을 모았다라는 점이 인상적인 서비스입니다. 이미 게임 스트리밍 서비스를 하고 있는 엔비디아나 곧 발표를 할 MS의 입장에서는 상당히 부담이 갈 경쟁 상대일 것 같습니다. Stadia는 올해 북미와 유럽에서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발표하였는데 게임 시장에서 한국을 무시할 수는 없을 것이니 국내 출시도 빠르게 이루졌으면 합니다.
게임 스트리밍 플랫폼이라고 발표된 Stadia는 유튜브를 재생할 수 있는 곳이라면 어떤 기기나 게임 콘솔로 만들어주는 서비스입니다. 픽셀북에서 게임을 하다가 옆에 있는 스마트폰,PC로 바로 이어서 플레이하는 것을 발표 현장에서 시연함으로서 박수를 치지 않을 수 없게 만들었습니다. 구글 어시스턴트와의 연동 등 구글이라는 회사가 가진 장기를 게임이라는 장르로 표현한 듯 하다라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발표 내용에서 가장 눈길이 가는 것은 배틀로얄처럼 많은 사람이 접속하는 멀티플레이 게임도 지원을 한다라는 부분이었는데 실제 서비스가 되어야 정말 플레이에 문제가 없는 것인지 알 수 있는 것이지만 기대가 많이 가는 발표였습니다.
Stadia 발표 영상이나 관련 기사들을 보면서 든 생각 중 하나는 Stadia는 단순히 게임 콘솔들을 타겟으로 할 뿐만 아니라 트위치를 겨누고 있다라는 것이었습니다. 게임 트레일러에서 바로 게임을 할 수 있고 쉬운 게임 방송 공유와 함께 방송 중인 유튜버의 게임에 시청자가 바로 참여를 할 수 있는 등 트위치 입장에서는 위협이 될만한 기능들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유튜브의 실시간 서비스가 트위치에 비해 부족한 점이 많지만 Stadia가 안착을 한다면 유튜브로서는 트위치의 자리를 노려볼 만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구글이라는 회사가 신규 서비스에 대해 집중력이 부족한 경우들이 많아 실제 서비스 후 지켜봐야겠지만 Stadia의 경우 어설프게 콘솔을 만들지 않고 위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자신들이 잘하는 것을 모았다라는 점이 인상적인 서비스입니다. 이미 게임 스트리밍 서비스를 하고 있는 엔비디아나 곧 발표를 할 MS의 입장에서는 상당히 부담이 갈 경쟁 상대일 것 같습니다. Stadia는 올해 북미와 유럽에서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발표하였는데 게임 시장에서 한국을 무시할 수는 없을 것이니 국내 출시도 빠르게 이루졌으면 합니다.
===
Project just4fun : http://www.just4fu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