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안드로이드 초보를 위한 안내서

이 글은 안드로이드를 처음 사용하시는 분들을 위해 몇가지 기본 사항을 정리한 글입니다. 제 개인적인 폰 사용 패턴이 반영된 글이니 참고정도로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구글 계정 생성

안드로이드 폰을 처음 구입해 폰을 켜면 구글 계정을 입력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계정이 없는 분은 거기서 생성이 가능한데 이 계정 입력은 필수가 아니어서 그냥 패스할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안드로이드를 제대로 이용하려면 반드시(!) 구글 계정이 필요합니다. gmail, 주소록, 갤린더 등 구글 서비스와의 동기화에 필요하고 트위터와 같은 SNS 앱 등에서 사용되어지는 푸쉬 알림을 받기 위해서도 필요합니다.

계정이 없는 분들은 조금 귀찮겠지만 반드시 계정을 생성해 폰에 설정을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구글 계정에 피카사(https://picasaweb.google.com/) 연결해 놓기

위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안드로이드는 기본적으로 폰에 셋팅된 구글 계정과 연결해 주소록이나 캘린더 등의 구글 서비스를 동기화해줍니다. 그런데 구글의 여러 서비스 중 사진 서비스인 피카사만 좀 특이한 부분이 있습니다.

계정을 처음 설정할 때 그 계정이 피카사 서비스랑 연결이 되어 있지 않으면 나중에 피카사와 계정을 연결시켜도 폰이랑은 동기화되지 않습니다. 동기화 시키려면 폰을 초기화 하고 계정을 다시 셋팅해야 합니다.




좀 이상한 모양새인데 어쨌든 이런 이유로 안드로이드에 계정을 처음 셋팅하기 전에 미리 피카사랑 연결을 시켜놓는 것이 좋습니다. 피카사와 연결이 되어 있으면 PC나 다른 기기에서 피카사로 올려놓은 사진들을 폰에서도 온라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속도가 좀 느리지만 사용해보면 꽤 편리합니다.



Gmail과 주소록

구글 계정과 연결되어 있는 안드로이드 폰의 주소록은 기본적으로 지메일의 주소록과 동기화됩니다. 그런데 일반 폰을 사용하다 스마트폰으로 바꾼 경우 대리점 등을 통해 주소록을 복사해도 그 주소들은 바로 지메일과 연결되지 않습니다. 연결을 시키려면 주소록에서 메뉴 버튼을 누르면 나오는 메뉴 중 '구글과 통합'을 실행시키시면 됩니다. 이 기능은 갤럭시S2에서만 해보았는데 다른 안드로이드 폰에서도 별차이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지메일 이외에 네이버 메일 등에 있는 연락처를 가져오려면 지메일의 '매일 및 주소록 가져오기' 기능을 사용합니다.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지메일의 설정 화면으로 들어간 후 '계정 및 가져오기' 탭을 선택합니다. 거기에 보시면 '메일 및 주소록 가져오기' 버튼이 있습니다. 이 버튼을 클릭한 후 나오는 팝업창에 연락처를 가져오기를 원하는 메일 주소를 입력하면 해당 메일 서버에 접속하여 자동으로 지메일쪽으로 가져옵니다. 이 기능의 기본값은 메일과 주소록을 모두 가져오는 것이니 원하시는 옵션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마켓

아이폰을 사용하던 사람이 안드로이드로 넘어오면서 당황하는 것 중 하나가 앱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마켓이 여러가지라는 것입니다. 안드로이드 마켓에다 통신사 마켓. 거기에 제조사 마켓까지. 레퍼런스 폰인 넥서스 시리즈를 제외하고 일반 안드로이드 폰을 구입하면 기본적으로 3가지의 마켓이 존재하죠.

혼란스러울 수 있지만 기본적인 룰을 정하면 크게 문제될 것은 없습니다.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도 자주가는 마켓이 있고 거기에 물건이 없으면 다른 마켓으로 가는 것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저의 사용 패턴은 일단 게임이 안드로이드 마켓에 오픈이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무조건 통신사 마켓을 사용합니다. 나머지 어플은 안드로이드 마켓에서 검색을 해보고 없으면 통신사 마켓을 찾아보는 형태입니다. 왜 안드로이드 마켓을 기본으로 사용하냐고요? 안드로이드 마켓은 다른 구글 서비스들처럼 폰에 셋팅되어 있는 계정과 연동이 됩니다. 그래서 같은 계정을 다른 폰에 셋팅하면 기존에 다운받았던 어플들이 자동으로 설치가 됩니다. 편하죠? 그래서 안드로이드 마켓을 메인으로 사용하고 통신사 마켓은 보조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켓 관련해서 하나만 더 말씀드리면 안드로이드 마켓은 PC 웹버전도 있습니다. 주소는 https://market.android.com/ 입니다.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하시고 상단의 '내 마켓 계정' 메뉴에 들어가시면 탭이 두개 있습니다. 첫번째 보이는 주문 탭은 지금까지 설치한 앱들이 표시되고 그 옆에 있는 설정 탭으로 들어가시면 사용 중인 기기들을 보실 수 있습니다.

PC 웹 마켓이 좋은 점은 여기서 앱을 검색하고 바로 원격으로 폰에 앱을 설치 할 수 있습니다. 앱을 찾아 상세 화면으로 들어가시면 설치 버튼이 있습니다. 이 버튼을 클릭하시면 아까 설정 탭에 있던 기기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기기를 선택하고 설치 버튼을 클릭하시면 기기에서 자동으로 앱이 다운로드되고 설치됩니다. 편하죠? ^^



메모리 관리, 뒤로가기 버튼, 홈 버튼

1. 안드로이드 2.2 이하 버전에서는  Advanced Task Killer (https://market.android.com/details?id=com.rechild.advancedtaskkiller)와 같은 메모리 관리 어플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안드로이드의 메모리 관리가 효율적이지 못해서 별도 어플을 사용했던거죠. 그러나, 2.3 진저브레드를 사용하는 폰들은 이런 어플을 사용하실 필요없습니다. 안드로이드 자체 메모리 관리가 좋아졌기 때문인데 이런 어플을 사용하면 오히려 시스템을 불안하게 할 수 있습니다.

2. 안드로이드에는 어플을 종료시키는 방법이 두가지 있습니다. 뒤로가기 버튼 연타(?)와 홈 버튼입니다. 가장 확실한 방법은 홈 화면이 나오기까지 뒤로가지 버튼 연타이나 위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메모리가 관리가 좋아졌기 때문에 어플을 종료시키고 홈 화면으로 가기 위한 것이라면 뒤로가지 버튼대신 홈 버튼을 사용하셔도 됩니다.



미디어 파일

안드로이드 폰에 미디어 파일을 집어 넣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폰을 USB 케이블로 PC에 연결을 하면 연결되었다라는 화면이 폰에 표시됩니다. 이 화면 하단에 있는 'USB 저장소 사용' 버튼을 클릭하고 잠시 있으면 PC가 폰을 이동식 디스크로 인식합니다. 처음 연결할때는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과정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는 일반 USB 장치처럼 사용하시면 됩니다. 미디어 파일을 폰의 아무 폴더에나 넣어 놓으면 재생기가 인식합니다.




MP3 음악 파일은 그냥 복사를 하면 되나 동영상 파일은 사용하는 폰과 동영상 종류에 따라 인코딩 작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보통 국산 폰들은 지원하는 동영상 종류가 많기 때문에 대부분의 파일은 별도 작업이 필요없으나 외산 폰이나 좀 특별한 동영상은 작업이 필요합니다. 스마트폰에서 사용할 동영상 파일의 인코딩에는 다음의 팟인코더(http://tvpot.daum.net/application/PotEncoder.do)가 많이 사용됩니다.



루팅(탈옥)을 해야하나?

아이폰의 탈옥과 같은 개념이 안드로이드의 루팅입니다. 간단히 말씀드리면 폰의 관리자 권한을 획득해 제조사가 사용자에게 하지 못하게 한 기본 어플 삭제 등을 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게 되는 것입니다. 폰을 꾸미는 어플로도 할 수 없는 것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초보분들에게 권장하는 분들도 있으나 저는 가능한 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카페의 Q&A 게시판에 가장 많이 올라오는 글 중 하나가 폰에 대한 지식과 문제가 생겼을 때 대처 능력이 없으신 분이 루팅을 해 폰이 벽돌이 되었다라는 글입니다. 루팅을 해서 하고자 하는 것이 폰에 몇가지 장식을 하기 위한 것이라면 그것보다는 폰을 안정하게 쓰는 것이 더 정신 건강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또한 비슷한 것으로 어둠의 경로를 통해 유료 게임 등의 설치 파일을 구하는 것인데 이런 파일을 설치하실 때는 주의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안드로이드는 설정 하나만 바꾸면 이런 파일을 통해 유료 어플을 마음대로 설치를 할 수 있지만 그것으로 인해 악성 코드 등의 보안 문제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이런 설치 파일을 사용하실 때는 다른 사람들이 충분히 테스트를 한 것을 확인하고 설치하실 것을 권해드립니다. 그러나, 제일 좋은 방법은 유료 어플은 정당한 비용을 지불하고 구입하는 것이겠죠? ^^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구글 결제에서 결제 수단 등록 문제

얼마 전 카드를 새로 만들어서 구글 결제의 결제 수단을 교체하려고 하였는데 카드 번호가 잘못되었다라고 하면서 등록이 되지 않았습니다. 관련해서 검색을 해보니 이런 문제가 흔히 발생하고 있더군요. 저처럼 당황하실 분들을 위해 구글 고객센터와 통화해 해결하면서 알아낸 것들을 공유하겠습니다.

IFTTT의 새로운 앱 'Do'

IFTTT 는 간단하게 정의하면 온라인 자동화 서비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블로그에 포스팅을 하고 이 글을 SNS에 공유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각 SNS마다 직접 공유 포스팅을 하거나 Buffer와 같은 서비스를 사용해 공유 포스팅을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IFTTT는 이런 과정없이 블로그에 새로운 글이 등록되면 이것을 IFTTT에서 감지해 자동으로 SNS에 공유 포스팅이 등록되게 해줄 수 있습니다. 블로그를 예로 들었지만 IFTTT는 온라인 서비스들을 사용할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들을 감지해 자동화해줄 수 있는 편리한 서비스입이다. 이런 IFTTT에서 기존 앱의 이름을 IF로 바꾸고 별도의 새로운 앱인 'Do' 시리즈 를 출시하였습니다.

안드로이드 N의 '프리폼 윈도우 모드(freeform window mode)'

안드로이드 N의 개발자 프리뷰에서 가장 큰 변화는 멀티 윈도우 지원이었습니다. 그런데, 프리뷰가 발표된 이후 숨겨진 옵션으로 단순 멀티 윈도우가 아닌 일반 PC OS들처럼 윈도우의 크기와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프리폼 윈도우 모드(freeform window mode)'가 존재한다라는 사실이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이 윈도우 모드는 개발자 프리뷰에서는 활성화되어 있지 않았지만 구글의 공식 문서에도 언급이 되어 있는 옵션이었습니다. 어떤 모습인지 궁금하였던 '프리폼 윈도우 모드'의 작동하는 모습이 담긴 영상이 인터넷에 올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