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Nexus Player의 3D 벤치마크



3D 벤치마크 프로그램으로 유명한 3DMark가 안드로이드 TV에서 설치가 가능해져서 그동안 궁금했던 Nexus Player(넥서스 플레이어)의 3D 성능을 한번 알아보았습니다. 구글 플레이를 통해 설치가 가능해지기는 했지만 이런저런 문제가 있었는데 그것은 글의 마지막 부분에 이야기하도록 하겠습니다.

새로 추가된 'Sling Shot' 벤치마크는 실행이 되지 않아 'Ice Storm Unlimited'으로 테스트한 넥서스 플레이어의 점소는 17868점입니다. 현재 제가 사용하는 기기들의 같은 테스트 점수와 비교를 해보면,

  • 넥서스 5 : 13740
  • 넥서스 플레이어 : 17868
  • 넥서스 9 : 26502

참고로 3DMark에 등록된 넥서스 5의 점수는 제 넥서스 5보다 높은 16000점 정도입니다. 전 몇번을 해봐도 13000점 후반이던데...

제 점수들을 기준으로 비교를 해보면 출시일이 1년차이가 나는 넥서스 5와는 적당한 차이인데 같이 출시된 넥서스 9과는 차이가 많이 납니다. 넥서스 9이 사용하는 테그라 K1의 성능이 대단하기는 합니다. 어쟀든 넥서스 플레이어의 3D 성능은 현재 기준으로 그냥 무난한 성능입니다. 좋다라고 이야기하기는 힘들고 대부분의 게임들 실행에는 문제가 없는 수준? 그 정도입니다.

처음 이야기한 것처럼 안드로이드 TV에서의 3DMark는 몇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제일 큰 문제는 콘트롤러 지원 문제입니다. 3DMark 앱은 메인화면에서 좌우 스크롤로 페이지를 전환하면서 사용해야 하는데 안드로이드 TV 기본 콘트롤러로는 좌우 스크롤을 시킬 수가 없습니다. 좌우 스크롤은 게임 패드로 할 수 있는데 문제는 게임 패드는 넥서스 플레이어의 기본 구성품이 아니라는 것이죠. 3DMark의 안드로이드 TV 지원은 실행은 되지만 제대로 호환이 되는 수준은 아니라는 생각입니다.

그리고, 이런 문제를 가지고 있는 앱이 안드로이드 TV의 구글 플레이를 통해 설치가 가능한 앱으로 표시가 되는 것은 안드로이드 TV 플랫폼이 아직 제대로 자리를 잡지 못했다라는 것을 보여주는 하나의 예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


Project just4fun : http://www.just4fun.kr/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구글 결제에서 결제 수단 등록 문제

얼마 전 카드를 새로 만들어서 구글 결제의 결제 수단을 교체하려고 하였는데 카드 번호가 잘못되었다라고 하면서 등록이 되지 않았습니다. 관련해서 검색을 해보니 이런 문제가 흔히 발생하고 있더군요. 저처럼 당황하실 분들을 위해 구글 고객센터와 통화해 해결하면서 알아낸 것들을 공유하겠습니다.

IFTTT의 새로운 앱 'Do'

IFTTT 는 간단하게 정의하면 온라인 자동화 서비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블로그에 포스팅을 하고 이 글을 SNS에 공유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각 SNS마다 직접 공유 포스팅을 하거나 Buffer와 같은 서비스를 사용해 공유 포스팅을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IFTTT는 이런 과정없이 블로그에 새로운 글이 등록되면 이것을 IFTTT에서 감지해 자동으로 SNS에 공유 포스팅이 등록되게 해줄 수 있습니다. 블로그를 예로 들었지만 IFTTT는 온라인 서비스들을 사용할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들을 감지해 자동화해줄 수 있는 편리한 서비스입이다. 이런 IFTTT에서 기존 앱의 이름을 IF로 바꾸고 별도의 새로운 앱인 'Do' 시리즈 를 출시하였습니다.

안드로이드 N의 '프리폼 윈도우 모드(freeform window mode)'

안드로이드 N의 개발자 프리뷰에서 가장 큰 변화는 멀티 윈도우 지원이었습니다. 그런데, 프리뷰가 발표된 이후 숨겨진 옵션으로 단순 멀티 윈도우가 아닌 일반 PC OS들처럼 윈도우의 크기와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프리폼 윈도우 모드(freeform window mode)'가 존재한다라는 사실이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이 윈도우 모드는 개발자 프리뷰에서는 활성화되어 있지 않았지만 구글의 공식 문서에도 언급이 되어 있는 옵션이었습니다. 어떤 모습인지 궁금하였던 '프리폼 윈도우 모드'의 작동하는 모습이 담긴 영상이 인터넷에 올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