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Dungeon Quest (던전 퀘스트) : RPG? 파밍 게임!



'넥서스 플레이어를 게임 콘솔로 활용하자' 4탄 'Dungeon Quest (던전 퀘스트)' 입니다. 한글화가 되어있지 않은 게임이라 패스할까하다 2.0 업데이트에서 배틀 아레나 시스템이 도입된 것으로 보고 한번 해보았는데 의외로 재미있는 게임이었습니다. 게임 특성상 엔딩이 없기에 한달정도 해본 느낌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이 게임은 구글 플레이에서 RPG로 분리가 되어있고 게임 소개에서도 액션 RPG라고 이야기하고 있지만 전통적인 의미의 RPG 게임은 아닙니다. 전사나 마법사가 나오고 레벨업한다고 RPG는 아니죠. 액션 게임에도 흔히 있는 배경 스토리조차 '던전 퀘스트'에는 없습니다. 주인공이 왜 던전에 들어가 몹들을 잡고 있을까요? 이 게임에는 이유가 없습니다. 게임의 목적은 레벨업하고 아이템 맞추는데 있고 그것이 전부인 게임입니다. 그래서, 제목에 '파밍 게임'이라는 표현을 하였습니다.

게임 플레이 자체는 단순한 게임이지만 재미는 확실합니다. 디아블로도 그렇고 이런 아이템 맞추기 자체가 단순 반복 게임을 계속하게하는 힘이 있는 것이죠. 거기에 캐주얼해 보이는 게임 스타일과는 달리 아이템 조합의 난이도는 꽤 되는 편입니다. 한글화가 되어 있지않은 어려움도 있지만 제대로 셋팅을 하기위해서는 고려해야할 사항이 꽤 많습니다. 저의 경우는 원래 그런 세세한 아이템 셋팅에 별 신경을 쓰지 않지만 그렇지 않은 분들은 관련 카페 등을 통해 정보를 수집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런 요소도 이 게임의 재미 중 하나이겠죠.

2.0 업데이트에서 추가된 배틀 아레나는 좀 실망스러운 부분이 있습니다. 배틀이라고 해서 유저들끼리의 대결이라고 생각했는데 그것이 아니었습니다. 제 캐릭터는 제가 조정하지만 상대방은 상대 유저가 셋팅한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움직이는 AI 캐릭터입니다. 국내 모바일 RPG에서 흔히 보이는 완전 자동 전투는 아니지만 기대했던 PVP도 아니라는 것이죠. 전투 결과에 따른 보상과 단계별 리그의 순위를 제공함으로서 도전 의욕을 자극하기는 하는데 그것만 가지고는 단순한 게임 형태를 극복하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있다고 보여집니다.

한글화와 멀티플레이의 부재로 아쉬운 점이 있지만 게임의 파밍 요소만으로도 재미있는 게임이기는 합니다. 다만, 단순 반복형태의 게임인데 유저들간의 대결이나 협동 플레이를 할 수 있는 부분이 없기에 오랫동안 플레이하기에는 힘든 게임입니다.




===


Project just4fun : http://www.just4fun.kr/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구글 결제에서 결제 수단 등록 문제

얼마 전 카드를 새로 만들어서 구글 결제의 결제 수단을 교체하려고 하였는데 카드 번호가 잘못되었다라고 하면서 등록이 되지 않았습니다. 관련해서 검색을 해보니 이런 문제가 흔히 발생하고 있더군요. 저처럼 당황하실 분들을 위해 구글 고객센터와 통화해 해결하면서 알아낸 것들을 공유하겠습니다.

IFTTT의 새로운 앱 'Do'

IFTTT 는 간단하게 정의하면 온라인 자동화 서비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블로그에 포스팅을 하고 이 글을 SNS에 공유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각 SNS마다 직접 공유 포스팅을 하거나 Buffer와 같은 서비스를 사용해 공유 포스팅을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IFTTT는 이런 과정없이 블로그에 새로운 글이 등록되면 이것을 IFTTT에서 감지해 자동으로 SNS에 공유 포스팅이 등록되게 해줄 수 있습니다. 블로그를 예로 들었지만 IFTTT는 온라인 서비스들을 사용할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들을 감지해 자동화해줄 수 있는 편리한 서비스입이다. 이런 IFTTT에서 기존 앱의 이름을 IF로 바꾸고 별도의 새로운 앱인 'Do' 시리즈 를 출시하였습니다.

안드로이드 N의 '프리폼 윈도우 모드(freeform window mode)'

안드로이드 N의 개발자 프리뷰에서 가장 큰 변화는 멀티 윈도우 지원이었습니다. 그런데, 프리뷰가 발표된 이후 숨겨진 옵션으로 단순 멀티 윈도우가 아닌 일반 PC OS들처럼 윈도우의 크기와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프리폼 윈도우 모드(freeform window mode)'가 존재한다라는 사실이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이 윈도우 모드는 개발자 프리뷰에서는 활성화되어 있지 않았지만 구글의 공식 문서에도 언급이 되어 있는 옵션이었습니다. 어떤 모습인지 궁금하였던 '프리폼 윈도우 모드'의 작동하는 모습이 담긴 영상이 인터넷에 올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