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가까이 업데이트를 하지 못했던 개인 프로젝트 Viewzin이 2.6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처음에는 몇가지를 더 추가할까하였지만 3.0에서 전반적으로 손을 보는 것으로 하고 이번 업데이트에서는 안드로이드 7.0에서 추가된 멀티 윈도우를 지원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멀티 윈도우를 지원하는 것은 앱 설정에 옵션 하나를 추가하는 것만으로 되는 것이나 옵션을 활성화하고 테스트를 해보니 생각보다 고려해야할 것들이 많았습니다. 현재 멀티 윈도우를 지원하는 안드로이드 앱들을 살펴보아도 지원은 하지만 사용성에서는 개선의 여지가 있는 앱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멀티 윈도우 상태에서 전체 화면으로 전환을 할때 사용자는 당연히 그냥 화면만 전체 화면으로 전환되는 것을 기대하나 앱이 리플레시가 되면서 멀티 윈도우시의 화면이 아닌 다른 화면이 나오는 앱들이 있습니다. Viewzin 2.6도 이런 문제가 있는데 3.0 업데이트에서 문제들을 수정할 생각입니다.
이번 작업을 하면서 생각하게 된 것 중 하나는 안드로이드 리소스 파일에서 가로모드(land)에 대한 것입니다. Viewzin은 화면이 가로와 세로일때 여백이 다른 부분이 있는데 멀티 윈도우에서 이 부분이 문제가 되었습니다. 세로 상태에서 멀티 윈도우로 전환이 되면 안드로이드는 앱이 가로모드에서 실행되는 것으로 판단해 가로모드 리소스 파일들을 읽어들입니다. 그래서, 실제 화면은 세로인데 여백은 가로 화면일때의 것이 적용이 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가로모드(land) 대신 화면의 폭에 따라 리소스 파일을 사용하는 형태로 변경해 해결했는데 다양한 기기에서 사용되는 안드로이드 개발에는 기기나 화면에 따라 반영되는 리소스 파일에 대해 충분한 고려가 있었야 한다라는 점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었습니다.
멀티 윈도우를 지원하는 것은 앱 설정에 옵션 하나를 추가하는 것만으로 되는 것이나 옵션을 활성화하고 테스트를 해보니 생각보다 고려해야할 것들이 많았습니다. 현재 멀티 윈도우를 지원하는 안드로이드 앱들을 살펴보아도 지원은 하지만 사용성에서는 개선의 여지가 있는 앱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멀티 윈도우 상태에서 전체 화면으로 전환을 할때 사용자는 당연히 그냥 화면만 전체 화면으로 전환되는 것을 기대하나 앱이 리플레시가 되면서 멀티 윈도우시의 화면이 아닌 다른 화면이 나오는 앱들이 있습니다. Viewzin 2.6도 이런 문제가 있는데 3.0 업데이트에서 문제들을 수정할 생각입니다.
이번 작업을 하면서 생각하게 된 것 중 하나는 안드로이드 리소스 파일에서 가로모드(land)에 대한 것입니다. Viewzin은 화면이 가로와 세로일때 여백이 다른 부분이 있는데 멀티 윈도우에서 이 부분이 문제가 되었습니다. 세로 상태에서 멀티 윈도우로 전환이 되면 안드로이드는 앱이 가로모드에서 실행되는 것으로 판단해 가로모드 리소스 파일들을 읽어들입니다. 그래서, 실제 화면은 세로인데 여백은 가로 화면일때의 것이 적용이 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가로모드(land) 대신 화면의 폭에 따라 리소스 파일을 사용하는 형태로 변경해 해결했는데 다양한 기기에서 사용되는 안드로이드 개발에는 기기나 화면에 따라 반영되는 리소스 파일에 대해 충분한 고려가 있었야 한다라는 점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었습니다.
===
Project just4fun : http://www.just4fu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