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다큐멘터리의 두 얼굴 - FSA 아카이브 사진 : 객관성에 대한 무리수



서촌의 사진 전문 책방 ‘이라선’에서 구입한 ‘다큐멘터리의 두 얼굴 : FSA 아카이브 사진’은 1930년대 미국 농업안정국(FSA)에서 뉴딜 정책을 홍보하기 위해 구축한 사진 아카이브에 수록되지 못한 사진들을 통해 다큐멘터리 사진의 다른 면을 이야기하고 있는 책입니다. 펀칭된 책 표지 사진의 임팩트에 끌려 구입한 책인데 이론가/평론가들이 하는 이야기를 들을때 흔히 드는 감정인 신선함과 무리수가 공존하는 그런 책입니다.

두명의 저자가 쓴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것을 간단하게 줄인다면 ‘우리가 객관적이고 사실적이라고 생각했던 사진 - 정확히는 다큐멘터리 사진 - 에도 선택이라는 행위를 통해 개입되는 주관성이 있다’입니다. 그러면서 바르트의 ‘밝은 방’에서 언급되는 사진의 주체들에 ‘선택하는 자’가 빠져있다라는 논리를 전개하고 사진을 볼때는 그 사진에서 배제된 것들을 생각해야한다로 글을 마무리하고 있습니다.

사진에서 배제된 것을 생각할 수 있어야 한다라는 것은 저도 전적으로 공감하는 부분입니다. 그러나,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선택’과 ‘배제’는 너무나 당연한 것입니다. 사진이 아니라 어떤 예술에서도 작가는 ‘주관적인’ 선택을 하고 그 선택의 결과를 자신의 작품에 투영하는 것입니다. 선택의 주체를 작가가 아닌 미디어로 생각해도 정상적인 미디어라면 자신들이 이야기하려는 방향과 어울리는 사진들을 선택하지 아무(!) 사진이나 자신들의 미디어를 통해 공개하지는 않습니다. 이 책의 문제는 ‘선택’과 ‘배제’를 강조하고 위해 ‘다큐멘터리 사진’에는 이런 주관적인 선택이 없다라고 인식되어지고 있다라는 어이없는(?) 주장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다큐멘터리 사진에 주관성이 없다라니요? 우리가 훌륭한 사진이라고 이야기하는 것들은 그 사진을 찍은 사진가의 훌륭한 ‘주관’이 반영된 것들입니다. 이런 것을 무시하고 저렇게 이야기하는 것은 자신이 할 이야기에 힘을 싣기 위해 그 반대되는 것에 과도한 의미를 부여하는 전형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큐멘터리의 두 얼굴 : FSA 아카이브 사진’은 도로디어 랭의 ‘이주 어머니’ 사진으로 대표되는 FSA 아카이브의 다른 면을 볼 수 있었다라는 점에서는 흥미로운 책입니다. ‘펀칭’이라는 방법으로 불필요한 사진을 배제한 스트라이커의 극단적인 행동에는 “왜 펀칭까지?”라는 궁금증이 생기기도 합니다. 그러나, 그 펀칭된 사진들을 통해 이야기하려는 것의 기본 전제 - 다큐멘터리 사진은 객관적이다 - 에 무리가 있다라고 생각합니다. 자동으로 움직이는 로봇이 일정한 간격으로 자동으로 찍는 사진이 아닌 사람이 찍는 사진이 객관적일 수 없습니다. 우리가 다큐멘터리 사진에서 공감하는 것은 그 사진을 통해 이야기하는 사진가의 ‘주관적인’ 생각입니다.


===


Project just4fun : http://www.just4fun.kr/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구글 결제에서 결제 수단 등록 문제

얼마 전 카드를 새로 만들어서 구글 결제의 결제 수단을 교체하려고 하였는데 카드 번호가 잘못되었다라고 하면서 등록이 되지 않았습니다. 관련해서 검색을 해보니 이런 문제가 흔히 발생하고 있더군요. 저처럼 당황하실 분들을 위해 구글 고객센터와 통화해 해결하면서 알아낸 것들을 공유하겠습니다.

IFTTT의 새로운 앱 'Do'

IFTTT 는 간단하게 정의하면 온라인 자동화 서비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블로그에 포스팅을 하고 이 글을 SNS에 공유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각 SNS마다 직접 공유 포스팅을 하거나 Buffer와 같은 서비스를 사용해 공유 포스팅을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IFTTT는 이런 과정없이 블로그에 새로운 글이 등록되면 이것을 IFTTT에서 감지해 자동으로 SNS에 공유 포스팅이 등록되게 해줄 수 있습니다. 블로그를 예로 들었지만 IFTTT는 온라인 서비스들을 사용할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들을 감지해 자동화해줄 수 있는 편리한 서비스입이다. 이런 IFTTT에서 기존 앱의 이름을 IF로 바꾸고 별도의 새로운 앱인 'Do' 시리즈 를 출시하였습니다.

안드로이드 N의 '프리폼 윈도우 모드(freeform window mode)'

안드로이드 N의 개발자 프리뷰에서 가장 큰 변화는 멀티 윈도우 지원이었습니다. 그런데, 프리뷰가 발표된 이후 숨겨진 옵션으로 단순 멀티 윈도우가 아닌 일반 PC OS들처럼 윈도우의 크기와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프리폼 윈도우 모드(freeform window mode)'가 존재한다라는 사실이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이 윈도우 모드는 개발자 프리뷰에서는 활성화되어 있지 않았지만 구글의 공식 문서에도 언급이 되어 있는 옵션이었습니다. 어떤 모습인지 궁금하였던 '프리폼 윈도우 모드'의 작동하는 모습이 담긴 영상이 인터넷에 올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