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팔라딘스 스트라이크 : 모바일 MOBA + FPS 게임



할만한 모바일 게임을 찾다가 예전에 재미있게 했던 베인글로리가 생각났으나 베인글로리는 여전히 서버 문제가 있고 공식 카페에 올라오는 최근 평들이 좋지 않아 다른 MOBA 장르 게임 중 선택한 ‘팔라딘스 스트라이크’의 리뷰입니다.

‘팔라딘스 스트라이크’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오버워치와 표절논란이 있었던 FPS 게임인 팔라딘스가 원작인 게임입니다. 오버워치도 그렇지만 FPS 장르에 MOBA적인 요소가 들어간 팔라딘스를 모바일 게임으로 만들면서 반대로 MOBA 장르에 FPS적인 요소를 추가한 게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베이스가 FPS인 게임이라 일반적인 MOBA 게임과는 스타일이 많이 다릅니다.

게임내 다른 모드가 있지만 경쟁전이라고 할 수 있는 포위공격 모드는 오버워치의 점령호위와 비슷한 형태입니다. 맵 중앙의 포인트를 점령하면 화물(?)이 나오고 이것을 상대편 진영까지 밀면 이기는 형태입니다. 위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FPS가 원작인 게임이라 일반적인 MOBA 게임처럼 미니언 CS 먹기나 레인별 배치가 없는 것이 특징인데 이것 때문에 게임이 간결해지고 전투에만 집중할 수 있다라는 장점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게임이 10분내로 끝나기 때문에 모바일에 상당히 적합한 형태를 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게임에 대한 구글 플레이 사용자 리뷰의 부정적인 부분은 대부분은 서버 상태이지만 저의 경우는 서버 상태는 양호했습니다. 최근 업데이트이후 게임 자체가 멈추는 오류가 생기기는 했지만 한국 서버가 별도로 없고 동남아 서버를 이용한다라는 것을 생각하면 상태는 나쁘지 않았습니다. ‘팔라딘스 스트라이크’의 가장 큰 문제는 pay2win(과금에 따른 능력치 차이) 요소가 존재한다라는 것입니다.

최근 업데이트 기준으로 챔피언 능력치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룬과 재능 그리고 스킨입니다. 이중 룬의 경우는 꾸준한 플레이로 어느 정도 강화가 가능하지만 재능의 경우 현금을 주고 구입을 해야하는 수정이 필요해 기본으로 주어진 것이외의 재능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현질을 해야하며 스킨의 경우도 다른 게임들처럼 단순 장식이 아니라 룬 수치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습니다. 게임 개발사도 먹고 살아야하니 현질을 유도하는 것을 무조건 부정적으로 볼 필요는 없지만 능력치에 영향을 주는 과금 요소는 아쉬운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과금 요소말고 ‘팔라딘스 스트라이크’에서 아쉬운 점은 경쟁전 모드와 맵의 숫자가 적다라는 것과 사용자가 적어 매칭이 잘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번역기로 돌린 한글화 등이 있지만 모바일에서 MOBA 게임을 찾는 분이라면 한번쯤 해볼만한 게임입니다. PC MOBA 게임을 그대로 모바일로 옮겨놓은 듯한 다른 모바일 MOBA 게임들과는 달리 확실히 자신만의 개성이 있습니다.

제 평점은 5점 만점에 3점입니다. 게임만 본다면 4점이지만 pay2win 요소로 1점 감점하였습니다.




===


Project just4fun : http://www.just4fun.kr/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구글 결제에서 결제 수단 등록 문제

얼마 전 카드를 새로 만들어서 구글 결제의 결제 수단을 교체하려고 하였는데 카드 번호가 잘못되었다라고 하면서 등록이 되지 않았습니다. 관련해서 검색을 해보니 이런 문제가 흔히 발생하고 있더군요. 저처럼 당황하실 분들을 위해 구글 고객센터와 통화해 해결하면서 알아낸 것들을 공유하겠습니다.

IFTTT의 새로운 앱 'Do'

IFTTT 는 간단하게 정의하면 온라인 자동화 서비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블로그에 포스팅을 하고 이 글을 SNS에 공유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각 SNS마다 직접 공유 포스팅을 하거나 Buffer와 같은 서비스를 사용해 공유 포스팅을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IFTTT는 이런 과정없이 블로그에 새로운 글이 등록되면 이것을 IFTTT에서 감지해 자동으로 SNS에 공유 포스팅이 등록되게 해줄 수 있습니다. 블로그를 예로 들었지만 IFTTT는 온라인 서비스들을 사용할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들을 감지해 자동화해줄 수 있는 편리한 서비스입이다. 이런 IFTTT에서 기존 앱의 이름을 IF로 바꾸고 별도의 새로운 앱인 'Do' 시리즈 를 출시하였습니다.

안드로이드 N의 '프리폼 윈도우 모드(freeform window mode)'

안드로이드 N의 개발자 프리뷰에서 가장 큰 변화는 멀티 윈도우 지원이었습니다. 그런데, 프리뷰가 발표된 이후 숨겨진 옵션으로 단순 멀티 윈도우가 아닌 일반 PC OS들처럼 윈도우의 크기와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프리폼 윈도우 모드(freeform window mode)'가 존재한다라는 사실이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이 윈도우 모드는 개발자 프리뷰에서는 활성화되어 있지 않았지만 구글의 공식 문서에도 언급이 되어 있는 옵션이었습니다. 어떤 모습인지 궁금하였던 '프리폼 윈도우 모드'의 작동하는 모습이 담긴 영상이 인터넷에 올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