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Git 호스팅을 알아보다가 깃허브는 비공개 저장소는 무조건 돈을 지불해야 해서 깃랩에 가입했는데 오늘 깃허브도 무료 비공개 저장소 서비스를 시작한다라는 뉴스가 올라왔습니다. 그래서, Git 호스팅간의 비공개 저장소 서비스의 차이와 깃허브의 비공개 저장소 무료에 대한 깃랩의 반응을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깃허브,깃랩,비트버킷 모두 비공개 저장소는 무료가 되었습니다. 차이는 공동 작업자의 제한인데 깃허브는 이번 발표로 3명까지이고 비트버킷은 5명, 깃랩은 무제한입니다. 깃랩의 무제한이라는 단어가 매력적이지만 가격에 민감한 소규모 개발자의 경우 3명이나 5명 정도로도 충분하기에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무제한이 큰 장점이 있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비공개 저장소 무료를 강점으로 이야기하던 깃랩쪽에서 이번 깃허브의 서비스 변경관련 포스팅을 올렸습니다. 내용을 보면 앞으로 MS에서는 저장소보다는 애저와의 연동으로 수익을 올리려고 할 것이다라고 하면서 자신들은 기능 - 특히 멀티클라우드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라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MS의 자회사가 된 깃허브가 가질 수 있는 서비스의 한계를 공략하겠다라는 것이겠죠.
어쨌든 이번 소식은 서비스 제공자들의 경쟁을 통한 소비자의 이득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고 저는 깃허브와 깃랩 사이에서 다시 고민을 해야할 것 같습니다.
기본적으로 깃허브,깃랩,비트버킷 모두 비공개 저장소는 무료가 되었습니다. 차이는 공동 작업자의 제한인데 깃허브는 이번 발표로 3명까지이고 비트버킷은 5명, 깃랩은 무제한입니다. 깃랩의 무제한이라는 단어가 매력적이지만 가격에 민감한 소규모 개발자의 경우 3명이나 5명 정도로도 충분하기에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무제한이 큰 장점이 있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비공개 저장소 무료를 강점으로 이야기하던 깃랩쪽에서 이번 깃허브의 서비스 변경관련 포스팅을 올렸습니다. 내용을 보면 앞으로 MS에서는 저장소보다는 애저와의 연동으로 수익을 올리려고 할 것이다라고 하면서 자신들은 기능 - 특히 멀티클라우드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라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MS의 자회사가 된 깃허브가 가질 수 있는 서비스의 한계를 공략하겠다라는 것이겠죠.
어쨌든 이번 소식은 서비스 제공자들의 경쟁을 통한 소비자의 이득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고 저는 깃허브와 깃랩 사이에서 다시 고민을 해야할 것 같습니다.
===
Project just4fun : http://www.just4fun.kr/